건마바다:건마,스웨디시,1인샵,마사지,아로마,왁싱,타이

본문 바로가기

건마바다:건마,스웨디시,1인샵,마사지,아로마,왁싱,타이

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3억 사용료에도… 지하철 역명 뒤에 유독 병원 이름 많은 이유
    건마바다 2024.04.03 10:09

[지하철 역명 뒤에 붙은 병원 上] 역명 병기 3곳 중 1곳이 의료기관

0000072878_001_20240403074601442.jpg?type=w647

사진= SNU서울병원, 클립아트코리아 

지하철역 이름 뒤에는 유독 병원 이름이 많이 붙는다. 서울만 해도 ○○역이라고 쓰고 괄호 안에 병원명을 적었거나, 안내방송에서 “○○역 ▲▲병원”이라고 말하는 걸 어렵지 않게 보고 들을 수 있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홍보 효과와 공공성, 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양측은 서로 이해관계가 ‘딱’ 맞아떨어지는 최적의 판매자·구매자기 때문이다.

역명 병기역 3곳 중 1곳이 의료기관… 2022년부터 기준 완화돼
역명 병기란 기존 지하철 역명에 부역명을 추가·표기하는 것을 뜻한다. 미국, 유럽 등에서 먼저 시작됐고, 우리나라에서는 서울교통공사가 적자난 극복을 위해 2016년부터 역명 병기 유상 판매 사업을 시작했다.

사업 공고 후 입찰이 진행되면 공사는 심의위원회를 열어 최종 낙찰 기관을 결정한다. 여느 사업이 그렇듯,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곳이 낙찰되는 ‘최고가 경쟁 입찰’을 원칙으로 한다. 단, 금액만 높게 부른다고 해서 누구나 역명을 쓸 수 있는 건 아니다. 입찰 기준이 제법 까다롭다. 기본적으로 역으로부터 1km 안에 있으면서, 공서양속(公序良俗)을 훼손시키거나 공사 이미지를 저해할 우려가 없는 기관이어야 한다. 해당 기관명에 대한 안내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도 위원회 심의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 같은 조.건을 갖추지 못하면 아무리 많은 돈을 지불해도 역명을 사용할 수 없다.

응찰금액이 동일한 경우엔 공공성, 편의성을 고려한 순위에 따라 낙찰 기관을 선정한다. 의료기관은 5개 종류 기관 중 3순위에 해당한다. 공익기관(지명, 관공서, 공익시설, 공공기관), 학교보다 순위가 낮고, 기업체, 다중 이용시설(호텔, 백화점 등)보다는 순위가 높다.

순번 상으로는 3순위지만, 실제 사용 비중은 기업체 다음으로 많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전체 역명 병기 35개역 중 11개역(31.4%)을 의료기관이 쓰고 있다. 역명 병기 중인 서울 지하철역(서울교통공사 운영 역) 3곳 중 1곳에 병원 이름이 들어가 있는 셈이다. ‘○○역 ▲▲병원’을 어렵지 않게 보고 들을 수 있었던 이유다. 2022년부터는 서울교통공사가 병기 역명 대상기관 중 의료기관 기준을 완화하면서 의료기관 종류와 병상 수에 관계없이 의료법 제3조2항에 해당하는 모든 의료기관이 역명을 쓸 수 있게 됐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역명병기는 공공성을 담보하기 위해 기본적인 참가 자격 기준이 정해져 있다”며 “2021년 11월 지하철 운영기관의 경영개선과 역명병기 수요에 대한 형평성 차원에서 거리제한 완화, 의료기관 선정기준을 변경했다”고 말했다.

3년 1억~3억 사용료… 인지도·환자 편의성 효과
현재 서울 시내 지하철역명을 사용 중인 의료기관은 ▲김안과병원(2호선 문래역) ▲은평성모병원(3호선 구파발역) ▲강북삼성병원(5호선 서대문역) ▲강동성심병원(5호선 강동역) ▲강동경희대병원(5호선 고덕역) ▲에스앤유서울병원(5호선 발산역) ▲제일정형외과병원(7호선 청담역) ▲나누리병원(7호선 학동역) ▲녹색병원(7호선 사가정역) ▲을지대을지병원(7호선 하계역) ▲한솔병원(8호선 석촌역) ▲서울부민병원(가양역) 등이다. 해당 지하철역 출입구·승강장·안전문 역명판부터 노선도까지 총 10곳에 이들 병원의 이름이 들어가 있다. 안내 방송에도 등장한다.

대부분 계약 기간 3년 동안 1억~3억원대 비용을 지불한다. 매년 4000만원~1억원씩 내가며 역명을 사용하는 이유는 그만큼 홍보 효과가 좋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서울교통공사 1~9호선의 경우 한 해(2023년 기준) 승차 인원이 약 15억4700만명에 이른다. 역명에 의료기관이 병기된 역으로 범위를 좁혀도 ▲학동역 765만명 ▲구파발역 751만명 ▲발산역 738만명 ▲문래역 736만명 ▲서대문역 650만명 ▲강동역 631만명 등 600~700만명에 달한다. 이 정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이름이 노출된다면 1억원 이상을 지불할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환자 유치 경쟁이 심한 역세권 병원에게는 역명 병기가 좋은 홍보수단일 수 있다. 실제 역명을 사용 중인 A병원 관계자는 “인지도 측면에서 확실히 효과가 있기 때문에 비용 부담을 감수하는 것”이라며 “비급여 진료를 많이 보거나 마케팅 비용을 높게 책정하는 병원의 경우, 환자 유치에 도움이 된다면 그 정도 금액을 지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직접적인 환자·매출 증가보다는 내원객 편의성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한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서울 외곽에 위치했거나 개원한지 얼마 되지 않아 인지도가 낮은 병원의 경우, 내원객들이 역명을 보고 듣고 쉽게 찾아올 수 있도록 역명 병기를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B병원 관계자는 “역명을 쓴다고 해서 매출이나 환자 수가 얼마나 늘었는지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며 “지하철을 이용하는 환자들이 병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의도다”고 했다. C병원 관계자 또한 “광고 효과를 측정할 수 없고, 애초에 광고보다는 멀리서 오는 환자들의 편의성 목적이 컸다”고 말했다.

병원-지하철 ‘윈윈’… 지속 여부는 ‘글쎄’
결과적으로 의료기관 역명 병기는 서울교통공사와 병원 양측 모두에 ‘윈윈’이 됐다. 의료기관은 병원 홍보, 매출, 환자 편의성 등의 측면에서 효과를 봤고, 서울교통공사 역시 적자 타개책으로 내놓은 사업에 의료기관이 좋은 반응을 보이면서 수십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리게 됐다. 특히 공사 입장에서 의료기관은 공공성과 함께 높은 금액을 지불할 수 있는 능력까지 갖춘 최적의 구매자라고 볼 수 있다.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유정훈 교수는 “공사는 수익원이 필요하고, 병원은 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며 “양측의 수요가 잘 맞는다”고 말했다.

다만 앞으로도 역명 병기를 희망하는 의료기관이 많아질지는 미지수다. 병원 입장에서는 사용료가 비싸질수록 비용 대비 효과를 따지게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E병원 관계자는 “입찰 시점이 됐을 때 이미 병원의 인지도가 높으면 역명 병기 필요성이 떨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F병원 관계자 또한 “재계약 시점이 돼봐야 알겠지만, 사용료가 지금보다 많이 올라간다면 입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실제 최근 서울교통공사에 역명 병기 희망을 문의하는 의료기관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대해 유정훈 교수는 “이제는 서로 수요와 공급이 안 맞는 것”이라며 “병원은 이용객이 적고 인지도 낮은 역이면 인지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해 입찰하지 않는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 로그인

  • 전체 : 694
  • 신규 : 24